서울시, 영등포역상가 입찰 지연 논란…상인들 “생존권 박탈, 갑질 행정” 반발5월29일부터 연합회 주도 대규모 집회 예고서울시가 5월 중 실시 예정이었던 영등포역 지하도상가의 상가단위 입찰 공고를 예고 없이 연기하면서 상인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계약 만료일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어떠한 설명도 없이 입찰 일정을 미루고 있어, 상인들은 “법적으로 체결해야 할 위수탁 계약 자체를 무효화하려는 시도”라며 강한 불신을 드러냈다.
영등포역상가는 오는 6월 12일부로 기존 계약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상인들은 예년처럼 상가단위로 일괄 입찰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서울시는 이와 관련한 어떠한 안내나 공지도 없이 시간만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서울시 내부에서는 “대선 시기를 피해 3개월간 집행 유예를 한다”는 소문까지 돌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도 시 당국은 묵묵부답이다.
이러한 서울시의 행보에 대해 상인들은 “알권리를 침해하고 일방적으로 기다리라고만 하는 것은 명백한 갑질 행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더불어 “십수년간 유지되어온 상가단위 입찰 방식을 폐지하고, 점포별 입찰을 강행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최고가 경쟁을 유도해 시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방침이라는 것이다.
한 상인은 “서울시가 오랜 기간 쌓아온 상권과 관계를 무시하고 모든 상인을 물갈이하려 한다”며, “이는 단순한 행정절차가 아니라 생존권을 뿌리째 흔드는 폭거”라고 성토했다.
실제로 개별 입찰이 현실화될 경우, 기존 상인들은 임대료 경쟁에서 밀려나 퇴출당할 우려가 크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시 관계자들은 “입찰 방식 변경이 고려되고는 있지만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을 비공식적으로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반발한 지하도상가연합회는 오는 5월 29일(목)부터 서울시청 앞에서 대대적인 집회를 예고했다. 연합회 관계자는 “더는 기다릴 수 없다.
서울시는 상인들의 목소리를 무시하지 말고, 입찰 계획과 계약 연장 여부에 대해 즉각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얼마 전 오세훈 서울시장이 “민생을 돌보겠다”고 약속했던 발언은 이번 사태와 맞물리며 “기만적 구호에 불과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상인들은 “대선 포기를 선언하자마자 바로 지하도상가 상인들을 대상으로 이 같은 횡포를 부리고 있다”며, “민생 챙기기는커녕 민생 파괴의 정점에 서 있다”고 분노를 터뜨렸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계약 연기 문제가 아니라, 서울시의 상가 정책 방향 전환과 직결되는 중대한 갈림길이라는 점에서, 향후 서울시의 대응 여부에 따라 대규모 상인 반발과 정치적 파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내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월간기후변화 발행인
내외신문 대표 기자 금융감독원, 공수처 출입기자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장
댓글
영등포역상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