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와 세계적인 경제학자들이 공동으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기후위기 대응이 단순히 환경 보호에 그치지 않고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는 매사추세츠 대학교의 정치경제연구소(PERI)와 로버트 폴린 교수가 주도했으며,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경우 2030년까지 최대 86만 개, 2050년까지 추가로 최대 12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가장 많은 일자리가 예상되는 분야는 재생에너지 산업으로, 2030년까지 최대 61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 또한 건물 개조, 전력망 업그레이드, 친환경 자동차 제조 등 에너지 효율 증대 분야에서도 상당한 고용 창출이 예상된다. 새롭게 창출되는 일자리의 평균 연봉은 전체 산업 평균을 상회하며, 대부분이 복리후생 등 질적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 '한국에너지 대전환의 일자리 창출 효과 분석' 보고서 표지(사진=그린피스 보고서)
|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기존 화석연료 및 내연기관 산업의 일자리가 일부 줄어들 가능성도 있으나, 보고서는 감소폭이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PERI는 이러한 산업 전환의 영향을 받는 노동자를 위해 고용 보장, 재교육 지원, 재배치 지원 등 제도적 사회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한국이 2030년까지 매년 GDP의 약 3.6%에 해당하는 78조 원을 투자하고, 2050년까지 GDP의 1.4% 규모인 44조 원을 매년 투자해야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PERI는 2020년 한국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GDP의 9%를 투자했던 사례를 들며, 이러한 투자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이 단지 환경 보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이익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차기 정부는 재생에너지 투자를 확대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국정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